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1038번
- 경주로 건설
- 키패드 누르기
- HTML 기초
- 15686번
- 파이썬
- python
- 19238번
- 16234번
- 백준 알고리즘
- 수식 최대화
- 2020 카카오 인턴십
- 17144번
- 9095번
- 12865번
- SW ExpertAcademy
- QueryDSL 기초
- 베스트엘범
- 거울 설치
- 12869번
- 14499번
- 프로그래머스
- 보석 쇼핑
- 감소하는 수
- 미세먼지 안녕!
- SW Expert Academy
- 스타트 택시
- 어른 상어
- 1789번
- 빛의 경로 사이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5)
보물창고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0QHE/btrAhGeJAOt/muiclvKHQUtRz6P5wxHOAK/img.png)
IOC란 Inverse Of Control의 약자로서 제어의 역전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의존성에 대한 제어권은 "내가 사용할 의존성은 내가 만든다."의 개념으로 동작합니다. class HoseController{ private HoseRepository hose = new HoseRepository(); } 위 코드와 같이 HoseController 클래스에서는 클래스가 스스로 HoseRepository를 생성함으로써 멤버 변수인 hose에 대한 의존성을 직접 만듭니다. 하지만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멤버변수에 대한 의존성을 IOC 컨테이너가 설정해줍니다. IOC 컨테이너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ApplicationContext(BeanFactory) 객체인데, 이 IOC 컨테이너에서 Bean을 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5cEW/btrt84f4mtV/PQ0iJYSY3AIzcWSBuSun51/img.png)
문제 링크: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6052 코딩테스트 연습 - 빛의 경로 사이클 각 칸마다 S, L, 또는 R가 써져 있는 격자가 있습니다. 당신은 이 격자에서 빛을 쏘고자 합니다. 이 격자의 각 칸에는 다음과 같은 특이한 성질이 있습니다. 빛이 "S"가 써진 칸에 도달한 경우, 직진 programmers.co.kr 문제의 핵심은 루프를 체크하는 것입니다. 현재 위치의 x,y 좌표값과 방향 d를 한묶음으로 하여 루프를 체크하였습니다.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def solution(grid): answer = [] h = len(grid) w = len(grid[0]) dx = [-1, 0, 1, 0] dy = [0, 1, 0,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9eIG/btrt84tAeDu/L5ENCthxKDz5p5jNE4xNtK/img.png)
문제 링크: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1 코딩테스트 연습 - 메뉴 리뉴얼 레스토랑을 운영하던 스카피는 코로나19로 인한 불경기를 극복하고자 메뉴를 새로 구성하려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단품으로만 제공하던 메뉴를 조합해서 코스요리 형태로 재구성해서 programmers.co.kr 문제의 핵심은 조합의 사용에 있습니다. 각 course 마다 손님이 먹을 수 있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을 answer에 넣어야 합니다.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def solution(orders, course): answer = []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from collections import def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WCJZ/btrs9iyCukr/zs6Vk2kBwnUugJvnu12Ybk/img.png)
문제 링크: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748 코딩테스트 연습 - K번째수 [1, 5, 2, 6, 3, 7, 4] [[2, 5, 3], [4, 4, 1], [1, 7, 3]] [5, 6, 3] programmers.co.kr 리스트 슬라이싱을 이용해서 리스트를 잘라서 정렬한 뒤 K번째 수를 구하면 됩니다.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def solution(array, commands): answer = [] for c in commands: i,j,k = c narry = array[i-1:j] narry.sort() answer.append(narry[k-1]) return answer 소스코드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시면..